미아 2022. 11. 8. 11:39

Generization commitment : 일반화를 더 많이 시키면 시킬수록 더 좋은 방식이다. 머릿속에 하나로, 두개로 되어있는지 알 수 없지만 일반화를 더 시킬수있으면 하는 만큼 하는 방법이 좋다. commit - 약속하다

demonstrative pronoun - this that
speaker distance 가까움 this, 멈 that

한국어 '이' - speaker에게 가까움
'그' - hearer에게 물리적(that) / 추상적 (the) 가까움
'저' - 모두에게 멀리있는 것

may, might - might가 may의 과거형이긴 하지만. 둘다 현재다. (might는 과거기능이 없다) modal적인 특징이 다르다.
must - 과거형이 없다.
could - can의 과거형. 과거기능이 있다.

LAD : Languuage Action Device = linguistic faculty , 언어능력. 인간은 언어를 할줄 아는 능력을 타고난다.

have 1. stative form : 소유 / He has some    brothers. He has some money.
미국 : verb 취급 / 영국 : Aux 취급
2. dynamic form : 먹는거 / He had some breakfast. 미국, 영국 모두 verb 취급

only : 부정으로 해석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도치 일어나지 않는다
ex) Only two months after marriage they divorced. - ~만 = scale 에서 해당 부분이 미미하다.
부정어일때 = scale에서 해당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이야기할때

so many opportunities
ㄴ 복수가 아예 안되는건 아님

so as too how - 단수명사 관사 a/an (indefinite article) 이 있어야지만 쓸 수 있음
Article Movement

Sentential Adverbial : 문장 맨 앞과 뒤에 있을때 pause(,)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Forced insertion : 일반적으로 쓰는 용어가 아님.
전치사구는 움직임이 자율적이므로 교재와 다른 부분.

do-support
조동사가 없을때 do 를 써서 negation

pass동사일때 pass하는 사람, 대상이 모두 있으면 clause라고 할 수 있다
( for John to pass the exam ) -> infinitive clause
I want to pass the exam

adverbial :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오는 것을 싫어한다

VP adberbial은 pause 주고 나오는거 싫어한다
짧은 목적어 앞은 가능

아빠 : 엄마 시장가셨니?
딸 : #우리 엄마 시장 가셨어요.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문맥상 적절하지 않을때 # pound sign을 쓴다.

택배 아저씨 : 엄마 시장가셨니?
딸 : 우리 엄마 시장 가셨어요.

scrambling : adjunct 가 앞으로 나갔을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