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구성이 특이했던 사례 분석 : 360도 회전 무대
2019. 07. 31
평소 콘서트에 관심이 많아 티켓팅을 자주 하고는 하는데, 콘서트마다 좌석 배치도가 다른 것을 발견하였다. 임동욱 교수님의 문화예술테크놀로지 수업 에서 무대의 종류에 대해 배우면서 좌석 배치도가 다른 이유들을 알 수 있었다. 무대의 종류에는 원형극장(am phi theater), 마당놀이 무대, 돌출무대(thrust stage) 등이 있다.
https://studiomusical.tistory.com/57
무대(극장)의 종류 (styles of theaters)
Styles of Theaters 극장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주로 객석배치에 따라 구분된다. 객석에 따라 달라지는 극장의 종류을 알아본다. Proscenium 가장 친숙한, 프로시니엄 극장은 액자형 무대, 혹은 사진틀 무대라..
studiomusical.tistory.com
우리나라에는 형태가 정해져 있는 공연장 그리고 원래 목적은 스포츠인 경기장, 모두를 무대로 사용한다. 예스24 라이브홀 (구 악스홀)은 액자형 무대로 고정되어있다. 하지만 고척스카이돔이나 올림픽공원 sk 핸드볼경기장과 같이 원래 목적이 스포츠 경기장인 경우에는 공터를 확보하여 콘서트의 성격에 맞게 무대를 구성할 수 있다.
아래에는 경기장의 공터를 확보하여 무대를 만드는 과정을 다룬 영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6NjHKpimBM4
360도로 돌아가는 무대가 이때까지 본 무대 형식 중에 가장 특이하다고 생각한다. Theater-in-the-round와 좌석 배치도는 같지만 360도는 무대가 돌아가는 것이 차이점이다. 2017년 12월 15-17일 서울 올림픽공원sk 핸드볼 경기장에서 열린 워너원 프리미어 팬콘은 360도 무대로 구성되었다. 같은 공연을 부산에서는 돌출무대로 하였다. 정면이 한 방향인 것과 달리, 360도 무대에서는 전 좌석이 정면이 되었다. 360도 무대는 중앙에는 돌아가는 판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고정된 공간이 있어 위험성을 줄여준다. 돌아가는 판은 회전 프레임이라고 한다. 먼저 원형 골조를 만들고, 바퀴를 단다. 회전무대를 만들 떼에는 구동부 모터의 높이 때문에 회전무대를 설치하고, 빈 곳을 따로 제작해 온 덧마루로 메꾸는 방법으로 무대를 조립한다.
2019년 5월 1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드림콘서트는 정면이 한방향인 무대 형식으로 구성이 되었다.

좌석배치도를 보면 반원의 형식을 띄고 있다. 무대 뒤도 좌석이 있지만 무대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이루어냈다. 고척 돔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360도 공연이 아닌 모든 공연이 이렇게 반만 사용할 수 있다.

위 사진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왼쪽 두 사진은 돌출무대 형식이었던 콘서트 현장 사진과 좌석 배치도이다. 오른쪽 두 사진은 360도 무대 사진의 무대 사진과 좌석 배치도이다. 모두 같은 아티스트와 같은 노래 세트 리스트로 이루어졌지만 구성이 달랐다는 점에서 좋은 비교 사례가 된다. 왼쪽의 경우 워너원 멤버들이 좌석을 마주 보는 정면 방향이 한방향인데 이와 대비되는 오른쪽 경우에는 다양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바라보는 방향이 정방향이 되는 것이다.

위 사진은 일본 부도칸에서 360도 무대를 한 무대 사진이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360도 무대의 장점을 활용하여 무대가 360도VR 공연으로 발전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360도 무대의 가장 큰 장점은 더 많은 관객이 정면으로 무대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유튜브에서는 VR영상을 지원하고 있으며 페이스북에서도 커버 사진을 VR형식으로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Cp4at6LE0A%EF%BB%BF
First virtual reality Ballet in the World - NIGHT FALL (360° video) | Dutch National Ballet
You can watch this First VR Ballet show on the mobile app of Youtube on your smartphone. But for the best experience, we recommend using Samsung Gear VR or a...
www.youtube.com
VR 360도는 내가 보는 방향이 정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문화예술테크놀로지 수업 중 왜 무대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시각적 효과들이 무대에 사용되는지를 논의한 적이 있다. 이 글을 작성하면서 예스24라이브홀과 같이 무대가 고정되어있는 경우 각 공연의 개별성을 나타내기 위함이 첫번째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무대의 스토리를 강조하고자 하는 경우 배경의 시각적 효과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mFupie5Mvg
마마무 콘서트를 그 예시로 들 수 있는데, 이는 숲에 떨어진 스토리를 다루고 있는 무대 장면이다. 공연 장 내에 나무와 돌을 소품으로 사용하였고 배경LED로 그 효과를 더욱 증폭시켰다.
360도 무대 형식과 기술 발전으로 가능해진 360도 VR영상에 대해 작성해 보았다. 360도 무대는 모든 방향이 정면이 될 수 있다는 점과 좌석을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고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무대의 위험성으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것 같다.
